궁금

내가 궁금해서 본 금리상승, 대출금리, 적금금리

값을변경 2022. 11. 4. 10:47

 

2022년 10월 12일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2.50%에서 3.00%로 50bp 인상.

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: 2022년 11월 24일

 

출처: [한국은행] 기준금리 추이

 

출처: [한국은행] 기준금리 변경일자

 


 

대출금리, 적금금리 그래프

 

조회 은행 :

하나/ 산업 /신한/ 국민/ 우리/ 기업/ 농협/ 수협/ 카카오뱅크/ 케이뱅크/ 스탠다드차타드/ 토스뱅크

 

조건.
1. 가계대출 - 일반 신용대출 - 서민금융 제외 평균금리
2. 서민정책 금융상품을 제외한 일반 신용대출의 평균금리
3. 각 달에 취급된 대출을 기준

가계대출 - 일반신용대출 - 서민금융제외평균금리
출처: [은행연합회] 대출금리비교

 

조건.
적금 / 단리 / 12개월
노출 상위 10개
2022년 11월 3일 조회

상품이 다르기 때문에 은행명이 중복될 수 있다.

 

대출 평균 이자 : 5.96% 

적금 평균 이자 :  3.23%

 

조건이 모두 다르므로 조심해야 한다.

기간도 짧으며 각 그래프당 한 개의 홈페이지에서 데이터를 가져왔다. 


 

 

궁금한 것 : 

부동산 대출이자, 기업 돈맥경화와 같은 키워드가 많이 나온다.

가계대출금리를 보고 대출이자가 얼마나 높은지 대략적인 수치를 보고자 하였다.

그 반대 은행에 맡기는 저축(적금)의 이자는 얼마나 높아졌는지 궁금했다.

저축하면 예금보단 적금이 먼저 떠오르기 때문에 적금으로 조회했다.

 

느낀 점?:

저축 이자가 지금의 수치보다 조금 더 높을 줄 알았다. 

왜냐하면,

그동안 대출거래가 많았고, 앞으로도 기업과 대출거래[2022.11.04 - [궁금] - 기업 자금 조달] 를 하려면 

은행도 자금이 있어야 하는데, 그 자금줄을 개인들에게 기대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.

그렇다고 저축 이자가 많이 오르지 않았다는 말은 아니다.

 

적금은 아주 수많은 조건을 만족하면 6% 이상까지 보이는 상품도 있다.

특별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상품을 볼 때 아주 자세히 보아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