궁금

우리나라 쌀 생산량 / 식량자급률 (KBS 다큐)

값을변경 2022. 6. 28. 12:48

KBS 다큐 유튜브

쌀 자급국이었던 필리핀과 아이티가 식량주권을 잃고 생긴 일 | KBS 대기획 “쌀을 포기한 대가” (KBS 081115 방송)


2018년에 방송된 다큐. 2022년에 보게 되었다...
이름 그대로 쌀을 포기한 대가...
최근에 물가 상승 때문에 끌올 되어 추천된 영상으로 생각한다.

문제 : 농업에 대한 투자가 줄어듦

필리핀의 예 :
- 국가 부채 → 경쟁력 없는 사업에 투자 X : 농업
- 서비스, 금융에 대한 투자 ↑
- 값싼 수입쌀이 대량으로 들어옴 : 경쟁력 상실
- 논은 대형마트, 골프장 및 돈이 되는 코코넛 재배 등등으로 바뀜

- 세계 절반 이상이 쌀을 주식으로 한다.
- 그중 우리나라 주식인 단립종 쌀은 전체 쌀 교역량의 1/10
- 1980년 수해, 냉해로 쌀 생산량 급감 ( 냉해 피해가 컸던 김포 수확량 30% ↓)

미국으로부터 56만 톤 수입
미국 곡물 메이저는 쌀 값을 3배 올렸고,
향후 5년 동안 수입해야 한다는 불공평 조건까지 수용해야 했다.



궁금 : 우리나라 쌀 생산량이 어느 정도?
1톤 = 1,000㎏

자료 출처 : 통계청 - 2021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 보도자료

2020년(양곡연도 기준) 우리나라

* 곡물 자급률 20.2% (밀 0.8% / 콩 30.4%)
* 식량자급률 45.8%
* 공공비축 매입량 : 2021년 35만 톤 → 2022년 45만 톤으로 확대

쌀은 주식으로 자급이 가능하지만,
밀과 콩은 소비량이 쌀 다음으로 많아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.


양곡연도 ?
제2조의2(양곡연도) 정부의 양곡연도는 전년도 11월 1일부터 해당 연도 10월 31일까지로 한다. 출처 : 국가법령정보센터
곡물 자급률 ?
쌀·보리쌀·콩·사료용 작물과 같은 각종 곡물의 국내 소비량 중 국내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율 출처 : 네이버 지식백과

출처 : 농림축산식품부



식량 무기화라는 단어가 무섭다..
우리나라는 쌀 보단 밀과 콩의 자급률이 떨어져 식량자급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.
마트를 가게 되면 항상 보는 게 두부인데 국산콩 두부는 말할 것도 없고 수입콩 두부의 가격도 많이 올랐다.

6월 최근에 빵 4개를 샀는데 15,000원이 훌쩍 넘었다.
물론 단가가 비싼 샌드위치가 들어가 있어 총금액에 한몫했지만 가격 오름세를 보면 겁이 난다.


참고 : 웹페이지 신문 (밀 99% 수입에 의존하게 된 이유)